카테고리 없음

보건의료 빅 데이터 플랫폼 확대 운영. -사망원인정보,치매관리정보 등

manager 7 2023. 2. 15. 10:06
728x90
반응형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보건의료 분야 공공데이터 결합을 통한 데이터 활용이 활성화되도록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을 늘리고 신규데이터 종류도 확대한다고 밝혔다.

 

* 보건의료 공공데이터를 결합·가명처리하여 공공 목적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자에게 개방하는 시스템

 

올해부터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공공데이터를 제공·개방하는 기관은 전년대비 5개소가 추가되어 총 9개소*이며, 데이터 종류도 기존 31종에서 26종 늘어나 57으로 확대된다.

 

* ’18’22.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암센터
’23. 통계청, 국립재활원,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국립중앙의료원,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추가

 

이번 조치는 연구자의 눈높이와 수요에 맞춰 필수적인 데이터를 지원하는 데에 중점을 뒀다.

 

기존에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에 건보공단의 사망연월정보만 제공했지만, 통계청의 사망원인정보가 추가되면서 질병에 걸린 것과 사망률 등의 상세한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고,

 

국립중앙의료원의 치매관리정보가 추가됨으로써, 치매예방, 치료, 관리분야까지 폭넓은 연구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밖에,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의 장기관리정보, 국립재활원의 재활관리정보, 건보공단 일산병원의 환자 관리 정보 등도 추가·확대되었다.

 

보건복지부는 21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23년도 제1회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실무협의체 회의를 개최하고 공공기관 데이터 확대·개방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실무협의체 운영 방향과 데이터 제공 절차 간소화 데이터 연계 확대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사업수행 공동사무국인 한국보건의료연구원과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2회 이상 데이터 활용신청 접수를 받고, 신속한 데이터 제공을 지원하기로 했다.

 

신규 추가되는 데이터 종류 등은 214()부터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https://hcdl.mohw.go.kr) 데이터 카탈로그 소개에서 확인 가능하며, 통계청 등 추가 제공기관의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는 시점을 고려하여 연구자들에게 우선 안내·홍보 후 4월부터 데이터 활용신청 접수를 시작할 예정이다.

 

데이터 제공기관 중 최소 2곳 이상의 데이터를 연계·결합하고자 하는 연구자가 사회적 기여도 등을 입증하는 자료와 함께 데이터 활용신청을 하는 경우, 연구평가위원회, 데이터 제공기관 심의 등을 거쳐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한 연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이 점차 확대되고 연구자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 활용 가능한 공공데이터 개방 및 사용자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제공기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라고 강조하면서

 

앞으로도 원활한 연계를 위하여 연구자, 데이터 제공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경청하여, 연구자에게 폭넓은 연구데이터 활용기회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사업 개요
2.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신청 가능 데이터

3.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실무협의체 회의 개요

담당 부서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책임자 부 장 정집민 (02-6263-8334)
데이터인공지능활용부 담당자 과 장 심소연 (02-6263-8473)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책임자 팀 장 윤지은 (02-2174-2754)
성과연구팀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 개요

 

추진배경

 

데이터 기반 정책개선, 연구 등을 위해, 개별 공공기관에서 분절적으로 보유한 보건의료 데이터를 연계, 결합하여 제공하는 플랫폼(‘18)

 

주요내용

 

우수한 IT 인프라, 방대한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계결합 사례 실증을 위해 건보공단 등 공공기관* 대상 시범사업 추진(‘18~‘21)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암센터, 질병관리청 4개 기관

 

- 4개 공공기관 빅데이터 연계·결합 시스템 구축(’19.9), 의료데이터 기반 R&D 선정과제 18연계결합데이터 지원

 

21.9월부터 본사업 전환하여 추진

 

23년부터 9개 공공기관 빅데이터 연계·결합데이터 제공 지원

 

<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업무흐름도 >

데이터 제공 절차

 

(신청대상) 국내 보건의료분야 및 의료정보학분야 연구자

 

(신청조건) 데이터 제공기관 중 최소 2곳 이상의 데이터 연계·결합

 

(평가항목) 사회적 기여도, 데이터 결합의 적정성, 데이터 결합 범위 검토

 

주요 정보보호 기능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철저한 개인정보 비식별조치를 총 2단계(제공기관 1, 플랫폼 1)에 걸쳐 실시, 개인식별 가능성을 최소화

 

* 자료의 구체적인 부분을 삭제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조치

 

- 주민번호, 성명, 주소, 전화번호, 보험증 번호 등 개인을 명백하게 식별하기 위한 정보(“식별자”)는 반드시 삭제하여 제공

 

- 데이터의 개인식별 가능성을 평가하여 위험성이 높은 정보는 삭제처리 등 조치 실시

 

(폐쇄환경 운영) 데이터 반출·재식별 위험 제한, 전송 시 암호화

 

- 인터넷에서 분리된 별도의 망(행정망)을 활용함으로써, 악의적 외부 해커로부터의 공격 등에서 원천적으로 방어 및 보호

 

* 정부통합전산센터에 서버를 위치시킴으로써, 국가 중요 기간전산 시스템과 함께 방화벽 등 대규모 보안장비를 공유, 안전성 확보 용이

 

-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폐쇄 분석환경을 활용,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특정 사무실, 특정 PC에서만 분석 후 결과 값만 반출 가능

 

(파기) 제공한 데이터는 플랫폼 내에 보관하지 않고, 즉시 파기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신청가능 데이터

 

구 분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카탈로그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본 DB(20072017), 검역 DB, 결핵신고DB, KoGES, 예방접종 DB 데이터셋 15
(변수 9,763)
국민건강보험공단 자격 및 보험료, 일반건강검진 등 데이터셋 11
변수 44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명세서 일반내역, 진료내역 등 데이터셋 4
(변수 65)
국립암센터 암등록 데이터셋 1
(변수 7)
통계청 사망원인정보 데이터셋 1
(7개 변수)
국립재활원 재활진료데이터 데이터셋 5
(변수 62)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기증자 및 수혜자 정보 데이터셋 2
(변수 199)
국립중앙의료원 치매관리 데이터셋 11
(변수 27)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환자정보, 수진, 진단,
검사, 수술 등
데이터셋 7
(변수 49)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실무협의체 회의 개요

 

개요

 

(목적) 2023년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계획 공유

 

(일시) ’23. 2. 13.() 14:00

 

(장소) 한국보건의료정보원 대한상공회의소 11층 대회의실

* 영상회의 병행

 

(참석자) 보건복지부, 공동사무국, 데이터 제공기관 업무담당자 등

 

주요안건

 

2023년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방향

 

2023년 세부 추진계획 및 실무협의체 운영 방향

 

2023년 데이터 제공 절차 및 데이터 연계 확대 방안

 

세부일정

시간 주 요 내 용 비고
14:0014:05(`05) 인사 및 소개 보건복지부
14:0514:35(`30) ’23년 추진방향 및 계획 사무국(의정원)
플랫폼 이용 활성화 지원 사무국(NECA)
14:3515:05(`30) 논의 전체
15:0515:10(`05) 마무리 말씀 보건복지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