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상반기 전기차 12,053대 보급…27일부터 보조금 신청접수- 올해 상반기 12,053대 보급…

manager 7 2023. 2. 27. 07:28
728x90
반응형

올해 중 누적 10만대 목표 - 승용차 최대 860만원, 소형 화물차(특수차 제외) 최대 1,600만원지급

                                         - 소상공인, 차상위 이하 계층이 전기화물차 구입 시 최대 360만원 추가지원

                                         - 출고·등록순으로 대상자 선정, 법인 2대 이상은 한국환경공단에 신청

 

□ 서울시가 올해 전기차 누적 10만대 보급을 목표로 27일(월)부터상반기 보급 12,053대에 대한 구매보조금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 지원 차량은 승용차, 화물차, 어린이 통학차량, 순환‧통근버스로, 상반기에 보급하는 12,053대는

▴민간부문 11,856대

▴ 공공부문197대다.

 

민간 보급 차종별로는

▴승용차 6,300대

▴화물차2,500대

▴이륜차 1,500대

▴택시 1,500대

▴시내․마을버스 

 

○ 전기이륜차, 전기택시, 전기버스(시내․마을)는 서울시 별도계획에따라추진할 예정이다.

 

□ 서울시는 ‘2023년 전기자동차 민간 보급사업’을 공고하고, 차종별‧부문별 보급 대수와 보조금 지원내용을 안내했다. 2월 27일(월)부터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www.ev.or.kr)에서 신청을 받는다.

 

□ 신청대상은 접수일 기준 서울시에 30일 이상 거주하거나 사무소를둔개인, 개인사업자, 법인, 공공기관 등으로 자동차 제작‧수입사와구매계약을 체결한 뒤 제작·수입사에서 보조금 신청하면 된다. 2개월이내 출고 가능한 차량에 한해 신청할 수 있다.

 

○ 현재 신청 가능한 전기차는 승용차 61종, 화물차 42종, 승합(중형)8종 등이다. 신청대상‧자격,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누리집(https://www.seoul.go.kr)에 게시된 공고문에서 확인할 수있다.

 

□ 먼저, 전기 승용차는 차량 가격 및 성능 등에 따라 보조금을차등지급한다. 5,700만원 미만 차량은 최대 860만원(국비680, 시비180)까지, 5,700만 원 이상 8,500만원 미만 차량은 보조금의50%를 지원한다. 8,500만원 이상 차량은 보조금 지원대상에서제외된다. 

 

□ 전기화물차는 차종에 따라 825만원(초소형)에서 최대 1,600만원(소형)까지 지원한다. 특수 화물차인 냉동탑차의 경우 현재최대1,946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 소상공인과 차상위 이하 계층이 전기화물차를 구매하면 해당 차량국비지원액의 30%를 추가로 지원한다. 추가지원금액은 지난해 10%에서30%로 확대했다.

○ 시민생활과 밀접한 노후 경유 택배 차량의 신속한 전기차 전환을위해전체 보급할 예정인 화물차(2,500대)의 30%(750대)를 택배물량으로 별도로 배정했다.

 

□ 어린이 통학차량 경우 어린이통학차량 신고필증을 발급받은자(예정자 포함)가 신청할 수 있으며, 최대 7,500만원까지 지원한다. 복지․의료 시설 등의 순환버스, 통근버스(중형승합)은 법인차량에한해 신청할 수 있으며 대당 7,000만원, 최대 2대까지 지원한다. 시는 상반기 신청 수요에 따라 하반기 추가 보급을 진행할 계획이다.

 

□ 올해부터는 개인사업자가 전기차를 구매하는 경우 개인과 마찬가지로재지원 제한기간 내 1대만 신청할 수 있으며, 법인이 재지원제한기간 내 2대 이상의 전기차(승용, 화물)를 구매할 때는 한국환경공단을 통한 국비만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재지원 제한기간은 보조금을 지원받은 후 동일 차종에 대해 일정기간추가로 지원받을 수 없는 기간으로 승용, 승합차는 2년, 화물차는기존 2년에서 5년으로 연장됐다. 기존 구매자에게도 소급 적용된다.

 

○ 단, 법인이 초소형 승용, 경형․초소형 화물을 구매하는 경우재지원제한기간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1대의 차량을 공동명의로 구매하는경우 대표자 1인에게만 재지원 제한 기간이 적용된다. 

 

□ 보조금 지급대상 선정방식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차량 출고․등록순이며, 보조금은 서울시가 자동차 제작·수입사로 직접지급해구매자는 자동차 구매대금 중 보조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만제작·수입사에 납부하면 된다.

 

□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친환경차량과(02-2133-3642, 3579, 9776), 120다산콜(02-120), 전기차 통합콜센터(☎1661-0970), 서울시누리집(www.seoul.go.kr),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www.ev.or.kr)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서울을 포함한 전국 소재 공용 전기차충전소, 운영현황 등 전기차 관련 실시간 정보를 얻으려면 무공해차통합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

 

□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는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감축을 위해 전기차 보급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올해중으로누적 보급 대수 10만 대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며“2026년 전기차 보급률 10% 달성을 위해 생활권 충전망구축등 다방면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출처: 서울시 보도자료

 

반응형